사드배치 이후 중국의 문화예술 공연 취소 과정을 보며
사드배치 이후, 수도 베이징에서는 2016년 11월 이후 한국 주자의 공연이 허락되지 않았다.
이후 2017년 1월에 이르러 3월 공연을 앞둔 백건우의 입국이 취소되고 독주 주자가 중국 사람으로 교체되었다.
공연주체가 정부(자치단체)인 경우도 그들의 요구와 합의로 맺은 공연 계약을 파기하기 시작했다.
이어 조수미 공연이 취소되었다.
이 공연의 경우는 각각 세 곳의 지역에서 각기 다른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이었다.
마리아 칼라스를 위한 영광스러운 헌정이니 뭐니 하던 세 곳이 한꺼번에 일방적인 공연 취소 통지를 보낸 것이다.
음악계뿐 아니라 미술계도 마찬가지였다.
이성근 화백 같은 경우는 중국에서 새로 오픈하는 초대형 쇼핑센터 내 박물관을 불하받아 큰돈을 들여 공사를 마무리 했다.
그리고 개관식을 위해 단체 비행기 표를 알아보던 중 입국이 불허된 것이다.
투자한 사람 등은 물론이고, 계약 상대가 대기업이었으며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협업해온 곳이 지방정부였던 까닭에, 관계자들 누구도 그런 상황을 예측하지 못했다.
2019년 현재(1월)까지도 그 상태니, 투자금 회수는 커녕 입국조차 불허되며 상황이 끝난 것이다.
한국의 지정학적 여견을 고려하면 제2, 제3의 사드 사태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영미권이나 유럽의 경우 싱글이나 애뉴얼 이벤트가 많은 아티스트들은 관련 보험을 드는 것으로 알고 있다.
사드배치 문제로 한국 아티스트들의 공연 등이 무더기로 취소된지 2년이 흐른 지금, 아티스트뿐 아니라 관련자들 모두 피해를 구제받지 못하는 모습을 보면서, 선의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 예술계와 관련 기획사들이 중국과의 비즈니스에 과연 사드사태 이전처럼 투자와 정성을 기울일 수 있겠는가.
정치적 위험부담을 일부라도 해소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계약 주체가 분명하다면 이를 근거로 보증보험을 발행해주는 등의 제도가 마련되면 어떨까..
과거 중국을 대상으로 한 문화 수출에 양적 팽창이 주요했다면, 이제는 어떤 형태로든 제도적 안전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싶다.